[Chorus]
Drink slow to feed the nose, you know he likes to get blown
코로 삼키게 천천히 흡입해, 그가 훅 가버리는 걸 좋아하잖아

Has he got enough money to spend?
그가 지불할 돈이 충분할까?

Leave? No, he's to and fro, he doesn't like it when the girls go
”떠난다고? 안돼.” 그는 서성거리며, 여자애들이 가버리는 걸 좋아하지 않아.

Has he got enough money to spend?
그가 지불할 돈이 충분할까?

[Verse 1]
It's going off 'cause they're not gonna let him in
그들이 그를 들여보내지 않아서 자리를 떴어

Two and a half, the boy is rushing out his skin
코카인 2.5g, 소년은 육신에서 벗어나는 중이야

He's got his charm with the girls that are smoking
흡연하는 소녀들을 끼고 그는 매력을 뽐내

He takes her arm, jumps the bar and now he's in
그녀와 팔짱을 끼고, 바(클럽)에 뛰어들어 입장했지

 

- 보통 클럽은 인원이 꽉 채워졌음에도 여성들은 출입하게 해주는 문화가 있다.

→ 노래 속 인물도 처음에는 출입할 수 없었으나, 여성을 데리고 클럽에 들어간 것으로 보임.


[Chorus]
Drink slow to feed the nose, you know he likes to get blown
코로 삼키게 천천히 흡입해, 그가 훅 가버리는 걸 좋아하잖아

Has he got enough money to spend?
그가 지불할 돈이 충분할까?

Leave? No, he's to and fro, he doesn't like it when the girls go
”떠난다고? 안돼.” 그는 서성거리며, 걘 여자애들이 가버리는 걸 좋아하지 않아.

Has he got enough money to spend?
그가 지불할 돈이 충분할까?

[Verse 2]
A broken half a glass has opened up his chin
반으로 깨진 유리잔이 그의 턱을 따버렸어

 

- 벌리다, 턱을 열게 하다 등 표현이 있지만,
  클럽에서 과격한 싸움이 벌어진다는 의미로 의역


He thinks he's hard, a powdered mouth that tastes of gin
그는 자기가 터프한 줄 알아, 가루가 묻은 입에는 진의 맛이 나네

 

- 영국에서는 hard를 tough로 자주 쓰인다
- 여기서 가루는 마약을 의미하는지 깨진 유리컵 조각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다


He's just been barred for that blues he was smoking
그가 피고있던 담배 (Richmond Blues) 때문에 (클럽에서) 방금 제재를 당했어

 

- 영국에서 Richmond Blues는 흔한 담배 종류 중 하나다

- 다만, 클럽에서 담배를 피운 이유로 제재를 당했다는 게 뜬금없다.
 이와 유사한 추측이 담배가 아니라 환각제를 피웠다는 추측이 있다.
 Oxycodone은 파란 형태 알약으로 마약성 진통제이며, 죽음의 진통제로도 불린다.

- 가장 해석이 난해한 구절이었다. 대뜸 그가 옥시코돈을 피는 것부터 누구로부터 가로막혔는지(barred)
  blues = Oxycodone 또한 추측이며, 이 문장은 완벽한 번역으로 볼 수 없다.


And then he barks, "It's my car I'm sleeping in"
그러더니 그는 “내 차야, 내가 자는 곳이라고!” 짖더군

[Bridge]
Tabs with unlimited O's
계산서에 무수히 찍힌 0들 (빚)

 

- Tabs는 외상 장부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며,

  흔히 클럽에서 테이블을 잡고 비싼 술과 안주를 시키면 엄청난 금액이 (0이 여러 개) 찍힌다


New clothes, bloody nose
신상 의류, 코피를 흘리며

Powders and walking back home
가루를 묻힌 채 집으로 돌아와

 

- 여기서 가루는 싸움 직후 입과 몸에 묻은 것을 의미


Has he got enough weed? No
그가 대마초를 충분히 가지고 있을까? 전혀

Broken phone, retching on the floor
망가진 전화기, 계단에서 구역질을 해

alone
홀로

And I can't believe that we're talking 'bout him
그리고 우리가 걔에 관해 이야기를 한다는 게 믿겨지지 않아

 

- 여기서 '걔'는 The 1975 멤버 '매튜 힐리' 본인의 이야기라는 썰이 있다.

  그는 실제로 18살에 코카인 중독이었으며, 그 시절 자신을 회고하는 가사를 자주 썼다.

  폭력적이며, 나락 인생으로 떨어질 수도 있었던 그가 어린날을 회상하는 곡을 썼다는 게

  스스로에게도 믿겨지지 않을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Verse 3]
"I'm searching you, mate, your jaw's all over the place"
”친구야, 너를 찾고 있었어. 턱이 완전 나가버렸네”

 

Can't talk, quick slap in the face
말도 못해, 잽싸게 뺨을 때려

- 마약에 취하면 흔히 발생하는 증상 중 턱이 비뚤어지며, 눈이 완전히 풀린 모습을 보인다.

- 여기서 남자를 제지하는 사람은 경찰로 추측된다

Yes, I threw a nut, but your friend's a case
그래, 내가 소란을 피웠지만, 네 친구 말이야

 

Why you singling him out, is it because of his race?
어째서 그를 콕 집어낸 거야, 그의 인종 때문에?

 

- 여기서 '나', '네 친구=그'가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다.

- 추측은 '약물 중독자=나'가 또 다시 난동을 부렸고,

  '콕 집어진=지목당한' 당사자는 사건의 연루되거나 동료 경찰로 추측된다.

  그리고 은연중에 인종차별을 하는 것으로 보아 위 두 문장은 약물 중독자의 대사로 추측된다.


"Look, the dog won't bark if you don't lark about"
”이봐, 개도 까불지 않으면 짖지 않는 법이라구.”

 

- 2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1. 말 그대로 노래 속 인물이 난동을 피우지 않으면, 아무 일도 없다.

 2. 네가 마약을 품고 다니지 않으면 탐지견들도 짖지 않는다.

 

[Outro]
M-O-N-E-Y's me
돈이 곧 나야

M-O-N-E-Y

M-O-N-E-Y's me
돈이 곧 나야

M-O-N-E-Y

M-O-N-E –

M-O-N-E –

M-O-N-E-Y

M-O-N-E-Y's me
돈이 곧 나야

M-O-N-E-Y

'스터디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1975 - The 1975 (1집 수록곡) (번역)  (1) 2023.04.12
The 1975 - The City (번역)  (0) 2023.04.08